본문 바로가기

전원생활6

볏짚단에 황토 버무린 생태건축…집이 숨을 쉬네요 [한겨레] [나는 농부다] ‘볏짚주택’에 빠진 귀촌인들 우리 곁에서 멀어졌던 볏짚이 건축 재료로 다시 살아나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도 활발하다. 볏짚주택을 직접 짓고 살아본 사람들은 ‘세상에서 가장 따뜻한 집’이라는 말을 실감한다. 볏짚이 없는 우리 민족의 생활사는 상상조차 할 수 없다. 조상들은 의식주를 벼와 볏짚으로 거의 다 해결했다. 이엉으로 지붕을 덮고, 멍석으로 자리를 깔고, 짚신으로 길을 가고, 도롱이로 비를 피했다. 또 섬이나 가마니로 곡식을 저장하고, 새끼줄로 온갖 농기구를 만들었다. 아이를 낳으면 왼새끼를 꼬아 금줄을 쳤고, 짚으로 사람 모양의 제웅을 만들어 액막이를 했다. 그래도 남으면 소여물이나 땔감으로 요긴한 게 바로 짚이었다. 목재 사이 콘크리트·벽돌 대신 볏짚 다져 넣고 .. 2013. 6. 12.
도시민 귀촌 발목잡는 1가구 2주택 문제 (서울=연합뉴스) 김용수 편집위원 = 전원생활을 희망하는 도시민들이 시골에 땅을 사고 집을 지으려고 할 때 현실적으로 부닥치는 문제 가운데 하나가 1가구2주택 문제다. 도시에 아파트 등을 갖고 있는 사람이 전원주택을 갖게 되면 1가구2주택자가 돼 양도세가 중과되기 때문이다. 실제 전원생활을 하려는 도시민 가운데는 이 문제가 걸림돌이 돼 실행을 주저하거나 고민하는 사람이 적지않다. 예를 들어 은퇴후 전원생활을 하는 사람들도 도시의 근거지는 남겨두려고 한다. 도시에 남아 있는 자녀들을 위해서나 당분간 도시의 생활 기반을 유지하면서 전원생활을 하려는 사람들의 경우 도시의 아파트 등을 당장 처분하기 쉽지 않다. 전원주택을 지어 주말주택으로 이용하다가 퇴직하면 시골에 정착하거나 나중에 늙어서 움직이기 힘들 때 도.. 2011. 9. 2.
실패하지 않는 전원생활 10계명 2007년 5월 22일 (서울=연합뉴스) 김용수 편집위원 = 다음은 전원생활 경험자나 전문가들이 강조하는 전원생활 성공법. ▲ 철저한 사전 준비는 필수 = 시골에 가서 무엇을 하며 어떻게 살 것인가를 먼저 정하는 게 중요하다. 땅이나 집을 사는 것은 선배들의 경험담이나 다양한 정보 등을 통해 구체적인 목표와 계획을 세운 후 실행해도 늦지 않다. ▲ 예행 연습 과정을 거쳐라 = 귀촌, 귀농하기 전에 주말농장 등을 통해 몸으로 체험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농업학교 등을 통해 영농기술을 습득하거나 가능하면 영농현장에서 일정기간 체험, 실습을 해보는 것도 좋다. ▲ 욕심은 금물, 작게 시작하라 = 텃밭가꾸기든 농사든 크게 시작하기보다는 작게 시작해서 늘려가는 게 좋다. 집짓는 것도 마찬가지. 집이 크면 집.. 2011. 8. 21.
은퇴후 전원생활 ① 생계형 귀농서 실버 귀촌 시대로 2007년 5월 22일 [시골은 도시 은퇴자의 노후 웰빙 거주공간..늘어나는 전원생활 수요 베이비붐 세대 56% "농촌이주 의향 있다"..실버 귀촌은 세계적 추세 (서울=연합뉴스) 김용수 편집위원 = 노후나 은퇴후에 전원생활을 하기 위해 시골로 향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살기 불편하다는 인식이 많았던 농촌이 여유롭고 건강한 노후를 원하는 실버세대의 웰빙 거주 공간으로, 평균수명의 증가와 조기 퇴직으로 제2의 인생을 준비해야 하는 도시 은퇴자들의 삶의 터전으로 새롭게 각광을 받고 있다. 얼마 전만 해도 전원생활은 대체로 돈많고 나이 든 사람들의 관심사항이었다. 전원주택이 들어서는 지역도 서울에서 가까운 수도권이 중심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주말이면 쾌적한 환경의 전원주택지나 시골 텃밭을 찾아 전국을 누비고.. 2011. 8. 21.